목록
이전글 다음글

[TEST]
5·18민주화운동,
어디까지 알고 있니? 

안녕, 난 제이야! 오늘 내가 준비한 콘텐츠는 바로 5·18민주화운동과 관련한 테스트야. 😎 이 퀴즈는 < 에브리씽 메이 올앳원스 > 웹진을 보고 5·18에 관심을 가진 청년 프로젝트팀 '새싹'에서 직접 테스트를 만들어주었는데, 이 테스트를 만들면서 새싹팀은 "5·18 민주화운동을 단순히 교과서에 나오는 사건이 아니라, 그 당시 사람들의 용기와 희생, 그리고 광주 시민들의 연대와 저항이 어떻게 이뤄졌는지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해.

자, 그럼 우리도,
5·18 민주화운동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스스로 테스트해보고, 더 알아가는 시간을 한번 가져볼까? 

제목을-입력해주세요_-001.png
테스트 바로가기는'여기'를 클릭!

문제를 푸는 것만으로는 끝이 아니야! 
이제 우리가 함께 문제 하나씩 자세한 이야기를 더 알아보자.
 그 안에 숨겨진 광주의 오월 이야기들이 기다리고 있어!

1. 잊지 못하는 '1980년 5월 18일'
첫번째 문제는 5·18 민주화운동에 관련해서 가장 기본적인 질문이야. 5·18 민주화운동은 1980년 5월 18일에 시작되어 10일 동안 이어졌어. 이 운동은 당시 군사 정권의 억압에 맞선 광주 시민들의 민주화 투쟁을 상징하며,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지. 5·18 민주화운동은 대한민국 민주화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자리 잡았어

2. '광주 교도소'
두 번째 문제는 5·18 민주화운동 기간 동안 계엄군이 체포한 시민들을 수감했던 장소에 관한 질문으로,. 정답은 광주 교도소야. 당시 계엄군은 광주교도소를 민주화 운동을 억누르기 위한 도구로 활용했어. 이곳에 수감된 시민들은 가혹한 고문과 폭력에 시달렸지. 특히, 교도소 내부에서는 인간의 존엄성이 철저히 무시되었고, 많은 이들이 억울하게 고통을 겪어야 했어. 광주교도소는 단순히 범죄자를 수감하는 곳이 아닌, 군사 정권의 억압과 폭력의 상징이 되었어.

3. 금남로에서 일어난 헬리콥터의 비극 
금남로는 5·18 민주화운동 기간 동안 계엄군이 헬리콥터에서 시민들을 향해 총격을 가한 장소야.계엄군은 헬리콥터를 동원해 광주 시내를 비행하며, 지상에 있던 비무장 시민들을 향해 무차별적으로 총격을 가했어. 이는 그야말로 극단적인 폭력 행위로, 많은 무고한 시민들이 그 자리에서 목숨을 잃거나 크게 다쳤지. 이 총격 사건은 5·18 민주화운동의 잔혹함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오늘날까지 기억되고 있어
도청상무관_(4).jpg
4. 5·18민주화운동의 최초 발포지 '전남대학교'
다섯 번째 문제는 전남대학교에 관한 문제야. 5·18민주화운동은 전남대학교에서 최초로 비상계엄령이 전남대학교 정문 안에 바로 5·18 최초 발포지가 있다는 사실 알고 있었어? 1980년 5월 당시 군부 세력이 비상계엄령 선포 후, 대학 휴교령을 내리자 이에 항거하기 위해 광주의 민주인사들과 학생들이 전남대학교에 모여들었다고 해. 그리고 5월 19일 시위 군중에게 포위된 계엄군의 장갑차가 시민을 향해 발포해 고등학생이 총상을 입었지.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들은 계엄군의 과잉진압에 극도로 격분했고 투쟁이 한층 더 거세지는 계기가 되었어.

5. 5·18민주화운동당시의 한국의 대통령
5·18 민주화운동이 발생한 1980년 당시 한국의 대통령은 전두환이었어. 전두환은 1979년 12.12 군사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잡은 군 출신의 독재자로, 그가 집권한 후에는 정치적 반대세력을 강압적으로 억압했어. 특히, 민주화 요구가 커지자 전두환은 계엄군을 동원해 군사적 수단으로 이를 진압했지. 5·18 민주화운동은 그의 군사 정권에 대한 광주 시민들의 저항이었고, 이 과정에서 많은 시민들이 희생되었어. 전두환 정권은 이 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하면서 인권 침해와 폭력적인 통제를 강화했지. 그 결과, 5·18 민주화운동은 한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민주화 투쟁의 상징으로 남아 있으며, 당시 전두환 대통령의 통치 아래에서 벌어진 비극적인 사건으로 평가되고 있어. 
_DSC0378.jpg
6. 광주 시민들의 저항의 중심지 '금남로'
5·18 민주화운동 기간 동안 광주 시민들이 가장 많이 모여 시위를 벌인 장소는 금남로였어. 금남로는 광주 시내의 중심부에 위치한 주요 거리로, 당시 시민들의 저항과 민주화 요구의 상징적인 장소였지. 1980년 5월, 군사 정권의 폭압에 맞서 광주 시민들은 금남로에 모여 대규모 시위를 벌였어. 이곳은 시민들이 민주화를 외치며 계엄군의 진압에 맞서 싸운 중심지였고, 대중 집회와 시위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장소였어. 금남로는 시위의 상징적인 장소로, 시민들의 투쟁 의지를 보여주는 무대가 되었어. 계엄군은 금남로에서 시위에 참여한 시민들을 무력으로 진압하며, 총격과 폭력을 동원했어. 이로 인해 많은 시민들이 목숨을 잃거나 부상을 입었지. 금남로에서 벌어진 시위와 그에 대한 진압은 5·18 민주화운동의 가장 극적이고 비극적인 장면을 만들어냈어. 지금도 금남로는 5·18 민주화운동의 중요한 역사적 장소로 기억되며,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남아 있어.

7. 계엄군이 투입된 이유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이 투입된 이유는 민주화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였어. 1980년 5월, 광주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시위가 격렬해지면서, 군사 정권은 이를 군사적 힘으로 제압하려 했어. 당시 대통령이었던 전두환과 군사 정권은 시민들의 시위를 '폭도'로 규정하고, 이를 진압하기 위해 대규모 군 병력을 투입했지. 계엄군의 투입은 단순히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민주화 운동을 강압적으로 억누르기 위한 조치였어. 군사 정권은 시민들이 민주화를 요구하며 벌인 시위를 불법으로 간주하고, 이를 무력으로 진압하기 위해 계엄군을 동원했지. 계엄군은 시위대와의 충돌에서 총격과 폭력을 사용했으며, 이는 많은 시민들의 희생을 초래했어. 이 과정에서 계엄군의 잔혹한 진압 방식은 민주화 운동의 비극적이고 참혹한 현실을 더욱 부각시켰지.
bvFra5ifDQMF5E41WwUbWi7MyiU84oUZXtEj4MnyQrf0NdDwnLJgUh7mS2IwFqn.jpeg
8.망월동 묘역: 추모의 시작
여덟 번째 문제는 5·18 민주화운동이 끝난 후,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광주 시민들이 처음으로 모인 장소에 관한 거야. 정답은 망월동 묘역으로 이곳은 5·18 민주화운동의 희생자들이 묻힌 장소야, 이 곳은 5·18 민주화운동이 끝난 후, 시민들은 이곳에 모여 희생자들을 기리며 그들의 헌신을 추모했어. 망월동 묘역은 단순한 묘지가 아닌. 이곳은 민주화를 위한 투쟁과 희생을 기억하는 상징적인 장소로 자리 잡았어. 매년 이곳에서 열리는 추모 행사는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이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망월동 묘역은 지금도 광주 시민들과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민주화의 의미를 되새기게 하는 장소로 남아있어.

9. 전남도청: 저항의 최전선
아홉 번째 문제는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들이 점령했던 주요 건물인 전남도청에 대한 질문이야. 5·18 민주화운동의 과정에서 전남도청은 군사 정권에 맞선 저항의 중심지로 떠올랐어. 시민들은 이곳을 점령하고, 군사 정권에 강력히 맞서 싸웠지. 전남도청은 단순한 행정 건물 이상의 의미를 지닌 곳으로. 이곳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광주 시민들의 결의와 투쟁이 가장 치열하게 벌어진 장소였어. 전남도청을 지키기 위해 많은 이들이 목숨을 걸었고, 그들의 저항은 민주화 운동의 역사에 깊이 새겨져 있어. 지금도 전남도청은 5·18 민주화운동의 상징적인 장소로 남아, 그날의 투쟁과 희생을 기억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10.시민군의 첫 무기 확보지: 동부경찰서
열 번째 문제는 5·18 민주화운동 중 시민군이 처음으로 주요 무기를 확보한 장소에 관한 거야. 정답은 바로 동부경찰서이지. 당시 광주에서 시민들은 계엄군의 잔혹한 진압에 맞서기 위해 무장이 필요했어. 처음에는 맨손으로 저항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무장의 필요성이 절실해졌지. 그래서 시민군은 동부경찰서를 공격해 주요 무기를 확보했어. 이곳에서 확보한 무기들은 이후 시민군의 저항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광주 시민들이 계엄군에 맞서 끝까지 싸울 수 있게 해줬어. 동부경찰서에서의 무기 확보는 단순한 무기 이상으로, 시민들의 단합과 결의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지. 이는 5·18 민주화운동의 흐름을 바꾸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어.
.

asdfsadf.jpg


구독.jpg
제보.jpg
피드백.jpg